반응형
1. 전이성향
헬리콥터가 제자리 비행(hover) 을 학고 있을 때의 기류현상으로 '전이성향'이라는 현상이 발생한다.
전이성향을 한 문장으로 정리하면 ' 단일 회전익 계통 회전익이 제자리 비행이 우측으로 밀리는 현상'이다.
2. 전이성향이 발생하는 이유
제자리 비행을 하고 있는 회전익 동체는 메인로터다 회전하는 방향(반시계방향)에 대한 반작용으로 메인로터가 돌아가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동체가 돌아가려는 힘이 작용하고, 여기에 항공기 기축을 유지하기 위해 테일로터가 꼬리 부분을 오른쪽으로 밀어내는 힘이 합쳐지면서 발생한다.
3. 현상 극복
전이성향을 극복하기 위해 3가지 방법이 있다.
- 조종사가 직접 Cyclic 조종간을 좌측으로 기울여서 우측으로 밀리는 현상을 상쇄시킨다.
- 메인트렌스와 항공기 동체가 수평상태에사 좌측으로 약간 기울어지게 장창 설계한다.
- Colective 조종간으로 메인로터 Pitch 각 증가시 회전면이 약간 좌측으로 기울게 설계한다.
반응형
'헬리콥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플래핑(Flapping) 이란 무엇인가요? (1) | 2024.02.15 |
---|---|
헬리콥터 회전 날개에서 발생하는 양력 불균형 (0) | 2024.02.01 |
헬리콥터의 종류 2 (1) | 2024.01.18 |
헬리콥터의 종류 (2) | 2024.01.18 |
헬리콥터에 대해 (22) | 2024.01.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