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헬리콥터

(6)
헬리콥터의 전이성향 1. 전이성향헬리콥터가 제자리 비행(hover) 을 학고 있을 때의 기류현상으로 '전이성향'이라는 현상이 발생한다.전이성향을 한 문장으로 정리하면 ' 단일 회전익 계통 회전익이 제자리 비행이 우측으로 밀리는 현상'이다. 2. 전이성향이 발생하는 이유제자리 비행을 하고 있는 회전익 동체는 메인로터다 회전하는 방향(반시계방향)에 대한 반작용으로 메인로터가 돌아가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동체가 돌아가려는 힘이 작용하고, 여기에 항공기 기축을 유지하기 위해 테일로터가 꼬리 부분을 오른쪽으로 밀어내는 힘이 합쳐지면서 발생한다.3. 현상 극복전이성향을 극복하기 위해 3가지 방법이 있다.조종사가 직접  Cyclic 조종간을 좌측으로 기울여서 우측으로 밀리는 현상을 상쇄시킨다.메인트렌스와 항공기 동체가 수평상태에사 좌측..
플래핑(Flapping) 이란 무엇인가요? 지난 글에서는 헬리콥터가 전진비행을 하면서 로터 회전면에서 양력 불균형이 발생하는 이유와 해소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번 글에서는 양력불균형을 해소하는 방법 중 하나인 플래핑(flappiing)에 대해 알아본다. 1. 플래핑(Flapping)의 뜻 영어사전에서 Flap의 뜻을 찾아보면 '펄럭거림', '(새가 날개를)퍼더거리다.'의 의미를 확인할 수 있다. 즉 새가 날개를 퍼덕거리는 것처럼 '날갯짓'으로 의미를 해석할 수 있다. 헬리콥터의 로터들은 회전하면서 항상 같은 높이로 돌아가는 것이아니라, 조종사의 조종입력에 따라 특정 구간을 지나면서 상하로 운동을 하는데 이것이 날갯짓을 하는 것과 비슷하여 'Flapping'이라고 한다. 2. 플래핑의 원리 지난 글에서처럼 전진비행을 하는 헬리콥터의 로터 ..
헬리콥터 회전 날개에서 발생하는 양력 불균형 길을 걷다 보면 가끔 '두두두두' 소리를 내며 하늘을 날아다니는 헬리콥터를 볼 때가 있다. 고정익 항공기는 엔진의 힘을 이용하여 전방으로 빠르게 이동하면 날개에서 양력을 얻어 하늘을 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헬리콥터는 동체 위에 달려있는 로터 블레이드를 회전시켜 마치 선풍기처럼 바람을 아래쪽으로 불며 양력을 얻는다. 그런데 과연 로터를 위에서 돌리기만 하면 양력을 얻을 수 있는 것일까? 헬리콥터 로터 회전면에는 다양한 항공역학적인 힘이 작용하고 있으며, 이를 기계공학적으로 극복하여 오늘날 헬리콥터가 하늘을 날 수 있는 것이다. 그중 로터 회전면에서 발생하는 가장 대표적인 항공역학 중에는 '양력 불균형'이 있다. 1. 전진과 퇴진 블레이드의 기류 속도 차이로 발생하는 로터 회전면의 '양력 불균형' 헬리콥..
헬리콥터의 종류 2 이전 글에서는 단일로터 시스템의 헬리콥터와 동축 로터 시스템의 헬리콥터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번 글에서는 종렬 시스템과 쌍축로터 시스템 그리고 오스프리와 같은 틸트로터 시스템에 대해 알아본다. 1. 종렬 로터 헬리콥터종렬 로터는 탠덤(Tandem, 두 사람이 앞뒤로 위치하는 것을 의미) 형식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대표적인 예로는 CH계열의 시누크가 있다.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메인 로터 블레이드가 앞 뒤로 위치해 있어 서로 토크를 상쇄해 주면서 항공기의 종축을 유지하게 된다. 텐덤로터 형식은 두 개의 커다란 메인 로터가 있어서 단일로터 헬리콥터보다 더 많은 중량을 들어 올릴 수 있으며, 무게중심(CG) 범위가 넓어서 항공기의 안정적인 수평유지가 쉽다. 약 30여 명의 무장인원을 탑승시키고 비행할 ..
헬리콥터의 종류 헬리콥터는 기본적으로 메인로터(main rotor)와 테일로터(tail rotor)로 구성되어있다. 항공기에 작용하는 역학적인 힘을 어떤 방식으로 해소하는지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발전해나갔다. 1. 단일로터 헬리콥터핼리콥터라고 하면 일반적인 인식으로 단일로터 헬리콥터를 의미할 것이다. 단일로터 형태는 메인로터가 헬기 동체 상부에서 회전하고, 이 때 뉴턴의 작용 반작용 원리에 따라 동체는 로터 회전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된다. 이렇게 돌아가는 힘을 토큐(torque)라고 한다. 여기에 동체가 회전하는 것을 상쇄하기 위해 긴 꼬리를 동체 후방부위에 연결하고 거기에 회전하는 꼬리날개, 테일로터를 달아서 메인로터 회전으로 발생하는 동체의 작용 반작용 현상을 상쇄하여(anti-torque) 헬리콥터의 동체가..
헬리콥터에 대해 일반적으로 항공기라고 말하면 우리는 보통 여객기, 초고속 전투기를 상상한다. 하지만 항공기는 하늘을 나는 모든것을 지칭하는 의미로 헬리콥터(helicopter) 또한 항공기로 분류된다. 헬리콥터라는 용어는 1861년 Gustave de Pontond' Ameourt가 처음 사용한 프랑스어 "heicoptee'에서 유래하였다. 여객기나 공군의 전투기의 경우는 날개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Fixed wing이라고 하며 고정익이라고 부른다. 반면에 헬리콥터는 메인 로터가 계속해서 회전하면서 양력을 발생하기 때문에 Rotay wing이라고 부르며 회전익이라고 부른다. 헬리콥터는 고정익 항공기에서는 할 수 없는 비행과 여러 환경에서 운용할 수 있어 오늘날에 그 수요가 점점 더 많아지고 있다. 제자리비행(hover..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