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타민은 탄소가 포함되어 있는 화합물이며 적절한 생리적 기능에 필수적이다. 비타민은 미량영양소(micronutrient)라고 불리는데 그 이유는 하루에 필요한 각 비타민은 소량이기 때문이다.
비타민은 지용성과 수용성으로 나뉜다. 지용성 비타민은 A, D, E, K로 지방조직과 간에 저장된다. 지용성의 장점으로는 비타민의 섭취량이 매일 차이가 있어도 된다는 것이다. 섭취량이 적으면 저장량을 사용할 수 있고, 섭취량이 적절하거나 많으면 저장량을 보충할 수 있다.
그렇지만 장기간의 걸친 과다한 섭취는 저장 능력이 초과되고 간 기능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위험하다. 가장 큰 독성 위험은 비타민 A와 D의 과다한 섭취로부터 발생한다.
수용성 비타민은 C, B, 티아민(B1), 리보플라빈(B2), 니아신(B3), 피리독신(B6), 코발라민(B12), 엽산. 비오틴, 판토텐산들이 있다. 수용성 비타민은 저장되지 않는다. 신체조직의 포화 수준을 초과하면 수용성 비타민은 소변을 통해 배설된다.
또한 수용성 비타민은 섭취량이 적으면 신체 조직에서 비타민 수준이 감소하는데 적은 섭취량을 보충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저장량이 없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충분한 양의 수용성 비타민은 매일 섭취해야 한다.
보충제를 통한 일부 수용성 비타민의 과다한 섭취는 독성을 초래할 수 있지만 그러한 경우는 아주 드문 경우이며 신체 조직의 포화/소변 배출 시스템이 잘 작용하기 때문이다.
비타민의 과도한 섭취의 문제점
과도한 비타민 섭취는 극단적인 상황일 때 문제가 발생한다. 시간이 흐르면서 지속적으로 섭취량이 적으면 수용성 비타민 결필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비슷하게, 지속적으로 비타민을 과다하게 섭취하면 독성을 초래할 수 있다.
선수와 일반인 모두에게서 적은 양의 비타민 섭취는 적은양의 칼로리 섭취 또는 비타민이 풍부한 음식의 부족으로 발생한다. 음식에 포함된 비타민의 섭취로부터 독성이 초래될 가능성은 거의 없다. 과도한 섭취는 고단위 비타민 보충제로부터 발생한다. 특히 쉽게 흡수되는 비타민 보충제에서 주로 발생한다.
이러한 비타민 보충제는 쉽게 구매할 수 있으며 '많을수록 좋다'라는 접근법에 솔깃해질 수도 있는 선수나 일반인들에게 빈번하게 선전된다.
'먹는것까지가 운동이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방 공급원은 무엇이 있을까? (2) | 2023.12.21 |
---|---|
지방의 하루 권장량 (2) | 2023.12.20 |
남자와 여자의 지방대사는 어떻게 다를까? (8) | 2023.12.18 |
지방의 소화, 저장, 사용 과정 (2) | 2023.12.14 |
지방이란? (3) | 2023.1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