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란?
에너지는 일(work)을 할 수 있는 능력으로 정의된다. 인체의 모든 세포의 공통적인 에너지는 'ATP(아데노신삼인산)'이다.
ATP는 근육의 수축과 이완을 위한 직접적인 에너지원이 된다.
ATP
ATP는 3개의 인산기를 포함하는 화합물이며, 인산기가 제거되면서 에너지가 방출된다. 하나의 인산기가 떨어져 나오면 화합물은 2개의 인산기를 갖게 되며 이것은 'ADP(아데노신이인산)'로 불린다.
ATP로 바뀌려면 ADP에 인산기가 추가되어야 하며, 이러한 과정은 에너지의 투입이 필요한다. ATP를 재합성하는 데 필요한 에너지는 음식으로 얻을 수 있다.
음식 --> ADP+P --> ATP -->세포에서의 일
에너지를 얻는 세가지 시스템
인체에는 ATP를 보충하는 세가지 주요 에너지 시스템이 있다.
크레아틴인산
음식 --> 무산소 해당과정 --> ADP+P --> ATP -->세포
산화적 인산화
(*ADP=아데노신이인산, P=무기인산, ATP=아데노신삼인산)
크레아틴인산, 무산소 해당과정, 산화적 인산화 이 세가지 시스템으로 인테는 ATP를 보충한다. 그리고 사용되는 주된 에너지 시스템은 얼마나 오랫동안 그리고 얼마나 빠르게 ATP가 요구되는지에 따라 결정된다.
크레아틴인산은 아주 빠르게 ATP를 보충할 수 있지만 겨우 몇 초동안만 가능하다. 크레아틴인산 시스템은 아주 짧은 지속시간의 초고강도 신체활동간에 주도적으로 사용된다. (예, 100m 달리기와 같은 전력 질주, 농구에서의 빠른 속공, 역도의 인상과 용상)
무산소 해당과정은 ATP를 재합성하는 데 있어 산소를 사용하지 않으면서 탄수화물을 분해한다. 이 시스템은 비교적 빠르지만 약 1~2분의 짧은 시간 동안 지속된다. 무산소 해당과정은 짧은 지속시간의 고강도 활동이나 간헐적 활동 동안에 주도적으로 사용된다.(예, 400m 달리기 같은 좀 더 긴 거리의 전력 질주, 스탑 앤 고 전력 질주, 15번 반복횟수의 저항운동 등)
유산소(aerobic) 에너지 시스템이라고도 불리는 산화적 인산화는 많은 스포츠 활동에서 주도적으로 사용된다. 이 시스템은 다른 두 시스템보다 느리지만 사실상 거의 무한적으로 ATP를 보충할 수 있으므로 운동이 몇 분 이상 지속될 때의 이상정인 에너지 시스템이 된다. (예, 장거리 달리기, 골프 코스 걷기, 앉아있는 동안과 잠자기 등 휴식 상태에서의 주된 에너지이기도 함.)
음식과 에너지의 관계
-탄수화물 --> 무산소 해당과정, 산화적 인산화
-지방 --------> 산화적 인산화 + 크레아틴인산 ----> ADP+P --> ATP --> 세포에서의 일
- 단백질------> 산화적 인산화
'먹는것까지가 운동이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떻게 체지방을 감소시킬 수 있을까? (32) | 2023.11.17 |
---|---|
에너지 균형이란? (12) | 2023.11.16 |
크레아틴인산과 크레아틴 (4) | 2023.11.16 |
스포츠 영양학의 기원과 역사 (0) | 2023.10.30 |
운동 후 잘 먹어야 건강하다. (1) | 2023.10.11 |